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부패의 권속

덤프버전 : (♥ 0)




엘든 링 보스 목록
[ 펼치기 · 접기 ]




부패의 권속
파일:kindred-of-rot-1-hq-elden-ring-wiki-guide.jpg
일어명腐敗の眷属
영문명Kindred of Rot
보스 정보
등장지역끓는 강 동굴
등급ENEMY
보상10000룬
부패 권속의 환희

1. 개요
2. 상세
3. 공략
4. 기타


1. 개요[편집]


엘든 링의 보스이자 일반 몬스터.


2. 상세[편집]


그리마와 인간을 합쳐놓은 것 같이 생긴 괴상한 생물. 겔미어 화산지역의 끓는 강 동굴에서 두 마리가 보스로 등장한다.

일단 보스이긴 하지만 대부분의 유저들은 케일리드에서 일반 몬스터로 진작에 봤을 것이다. 특히 처음 게임을 접한 유저들의 경우 용이 불태운 폐허에 있는 전송 함정에 걸려 케일리드 쪽의 사리아 갱도로 끌려가는 경우가 잦은데, 하필이면 부패의 권속들이 다수 돌아다녀서 멋도 모르고 다니다 이들이 내뿜는 곤충 실에 얻어맞아 죽으며 그 존재감을 확실하게 깨닫는 경우가 많은 편이다.


3. 공략[편집]



기본적으로 들고 있는 벌레의 글레이브를 이용한 공격이 주를 이룬다. 강인도가 높은 편은 아니라 경직은 쉽게 걸리지만, 두 번 정도 경직되고 나면 재빠르게 이동하면서 자리를 피하면서 글레이브를 휘두르기도 한다. 특히 3연속 찌르기는 나름 아픈편이니 주의하자.

이 녀석들의 가장 특별한 패턴은 등에서 발사하는 곤충 실. 뒤에서 하얀 실이 잔뜩 나온 후 플레이어를 향해 날라오는데, 타이밍 맞게 구르지 못하면 그 많은 실을 모조리 얻어맞으니 주의해야 한다. 위치에 따라선 실이 옆구리쪽으로 들어오기도 하기 때문에 방패만 믿지 말고 그냥 굴러서 피하는것을 추천한다.

2마리가 동시에 등장하지만, 위에서 말했듯 일반 몬스터로 먼저 보는 경우가 대다수인지라 진작에 익숙해져서 2마리가 등장해도 난이도는 크게 어렵진 않다. 굳이 약점을 이야기하자면 가드 브레이크로 확정적으로 경직이 걸려서 앞잡을 할 수 있다.

두 보스를 모두 처치하면 1만룬과 부패 권속의 환희라는 탈리스만을 획득하게 된다.


4. 기타[편집]


잡몹으로 나오는 개체들의 경우 처치하면 벌레의 글레이브를 드랍하기도 한다. 또한 케일리드 지하 묘지에서 부패의 권속 뼛가루를 입수할 수 있다.

많은 사람들이 이 녀석을 그리마라 부르며, 다리가 많아 착각하기 쉬운 편이다. 하지만 자세히 보면 머리에 고둥이 달린 새우다. 생김새를 자세히 보면 새우의 특징이 많이 보이는, 새우를 기반으로 디자인 된 것을 알 수 있다.

이 녀석이 잡몹으로 나오는 곳인 케일리드, 부패한 호수, 에브레펠엔 하나의 공통점이 있는데, 바로 붉은 부패 늪이 존재한다는 점이다. 케일리드나 에브레펠에서는 아예 새끼들까지 있을 정도. 흑검을 섬기는 흑검의 권속처럼, 부패의 권속은 그 이름에서 알 수 있듯 부패의 여신을 섬긴다고 하며, 실제로 밀리센트 퀘스트에서 고리가 밀리센트를 숭상하고 있는 부패의 권속들은 정확히는 밀리센트 안의 부패를 섬기고 있는 거라고 언급한다.

오히려 이 녀석들이 보스로 등장하는 겔미어 화산은 붉은 부패의 늪이 없다는것이 특징이라면 특징. 붉은 부패가 아니라 독 늪이 있는 것이긴 하지만, 엘든링 세계관에서 부패가 붉은 부패뿐만 아니라 독까지 어느 정도 포함하고 있다는 것을 생각한다면 납득할 수 있긴 하다.

대부분은 적으로 조우하게 되나 곤충인간같은 구조 덕에 멀쩡한 인간으로 위장할 수도 있는 모양인지, 평범한 할아버지로 둔갑해있어 대화가 가능한 개체들도 있다. 죽이면 본체를 드러는데 그와중에도 벌레는 얼마든지 있다면서 다시 살아돌아오는 건 덤. 물론 생김새만 멀쩡한 인간이고 부패의 광신도라는 건 여전해 밀리센트 퀘에 깊게 관여하게 되는데, 플레이어는 선택에 따라 이들의 계획을 도와주거나 훼방을 놓아 좌절시킬 수 있다. 자세한 내용은 위의 밀리센트 항목을 참고.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1 05:59:20에 나무위키 부패의 권속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